github 8

66일차(2)/Android App(5) : Android Studio 에서 git 관리하기

66일차(2)/Android App(4) : Android Studio 에서 git 관리하기 - Android Studio 깃으로 관리하기 - VCS - Create Git Repository - VCS : Version Control System - git으로 관리하는 데에는 상단 VCS 탭을 활용한다. - 모듈이 들어있는 프로젝트 하나를 깃 저장소로 잡아주면 된다. - 그러면 git init 한것과 똑같다. 내 안드로이드 폴더가 깃으로 관리되는 것! - 빨간색, 아직 untracked 상태라는 의미이다. - 저장된 폴더에 들어가보면 git이 있다. - 이 폴더에서 직접 git bash로 관리할 수도 있다. - .gitignore도 같이 만들어져 있다. - git bash로 확인해보면 untracked..

국비교육(22-23) 2023.01.11

63일차(1)/GitHub : Pull Request

63일차(1)/GitHub : Pull Request - Pull Request 설명 - 팀 프로젝트를 대비해서 깃허브 연습하기 - 조장이 깃허브에 저장소를 하나 만들면, 나의 깃허브 저장소로 끌고 온다(fork) - 최초 1회, 그 상태대로 가지고 온다. - 이 포크된 것을 코딩하려면 내 로컬 저장소로 가져오기! (clone) - 내 로컬 저장소에서 내 깃허브는 origin 이라는 이름을 가진다. 받아온 곳. 기원! - 조장의 깃허브도 원격 저장소로 등록해놓아야 한다!(upstream) - upstream : 최상위/상류 저장소라는 의미로 사용 - 처음에 최초 1회 1) fork, 2) clone, 3) upstream 저장소로 등록 하는 과정이 필요하다. - 각각의 깃허브에 master 브랜치가 있다..

국비교육(22-23) 2023.01.05

41일차(1)/GitHub : 외부 저장소에서 Fork-Clone 하기 / Pull Request 사용법

41일차(1)/GitHub : 외부 저장소에서 Fork-Clone 하기 / Pull Request 사용법 *깃허브에서 클론하는 방법 2가지 - 전체 클론하기 - fork 해서 내 깃허브로 가져온 후-클론 * 2번째 방법인 My Github로 fork(copy) 하기 - 단순 복사하는 것이라고 보면 된다. - 포크한 후 My Local Computer 로 클론 - 내 저장소에 내 것으로 만들어놓은 후에 포크하는 것! (원본 저장소가 업데이트되어도 자동 업데이트되지 않는다. fork한 시점까지만 복사되어 그대로 유지된다.) - 그 이후 원래 깃허브에서 커밋한다 해도 내 깃허브에 있는 저장소는 달라지지 않는다. - 포크한 시점의 커밋까지만 내 깃허브로 가져온다. - 복제본만 갖고 있는 것이므로, 원본 저장소에..

국비교육(22-23) 2022.12.05

[참고] 이클립스 2개로 git 저장소 clone 연습

- 이클립스 홈페이지 에서 이전 버전의 이클립스 패키지 다운로드 ex) 22.09 버전을 사용하고 있었는데 22.03 버전 패키지를 다운로드함 - 바탕화면에 Other_Computer 폴더를 만든다. 다른 pc, 또는 협업자의 pc 로 다른 이클립스를 사용한다고 생각하기! - Other_Computer 폴더 안에는 각각 OtherGitRepo, java_work라는 폴더를 생성 - 압축을 푼 이클립스 패키지(22.03) 폴더를 Other_Computer 폴더로 이동 - OtherGitRepo로 깃 저장소에서 clone해와야 한다. - clone 이 되면 그 폴더가 곧 저장소가 아니고, 그 안쪽이 저장소이다. ex) OtherGitRepo > 22.10_java 폴더 - 이 클론된 폴더안의 프로젝트 등등을..

국비교육(22-23) 2022.11.01

[참고] github 저장소 README.md 파일 생성 / Pull

[ github 저장소 README파일 만들기 ] - 저장소의 커밋된 창 아래에 아래 버튼 클릭! - README.md로 내 저장소를 방문하는 사람들에게 저장소에 대해 소개하는 것 - github에서 README는 Markdown 파일로 작성한다.(.md) - README의 내용과 commit 설명 메시지를 추가하고 커밋 - README.md가 커밋되었고, 저장소 아래에 Readme의 내용이 보이게 되었다. [ Eclipse에서 Pull 기능 사용하기 ] - github에 올린 내용을 내 pc로 가져오고 싶다면? Pull 기능을 사용한다. - 생성한 README.md 파일을 선택하고 Pull. - git으로 관리하는 폴더를 확인해보면 파일이 들어와 있다. - 마크다운 파일은 VS Code로 열 수 있음...

국비교육(22-23) 2022.10.27

[참고] Eclipse에서 Github으로 push, reset하기

Eclipse에서 작업한 파일을 github로 push하는 방법! [ Push하기 ] github 메인페이지-new 로 새 저장소 만들기 만들어진 저장소의 위치 복사! 이클립스에서 프로젝트 우클릭-Team-Push Branch master 위에 복사해둔 값이 클립보드에 들어가있으면 자동으로 Location 창이 채워진다. Remote name은 디폴트값으로 Origin이 부여된다. Authentication/인증에서는 github의 id와 token을 각각 넣어준다. preview - preview - push 쭉 클릭한다. github의 해당 저장소에 들어가보면 프로젝트의 기존 히스토리, 커밋이 전부 push된 것을 확인 가능! 이후에 또 추가할 프로젝트가 있으면 이클립스에서 commit 한 후 프로젝..

국비교육(22-23) 2022.10.26

12일차(1)/GIT(7) : GITHUB(2)

test06 폴더 index.html파일 만들고 git bash열기 - init을 한다는 것은 이 폴더 하위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을 깃으로 관리하겠다는 뜻! - git status 보면 마스터라는 브랜치가 만들어져 있음을 알 수 있음. 수동으로 만들지 않아도 init 했을때 처음으로 만들어지는 브랜치. - commit 아직 없고, 언트랙드 파일이 있음. - index.html 파일을 수정하고 status를 보면 use git add / use git restore 이라는 두 가지 선택지가 나온다. - restore 는 (사진을 찍었던 대상을) 이전 사진으로 되돌리는 것! git restore 입력하면 수정전 commit했던 상태로 돌아간다. - 하지만 새 파일을 만들어서 git restore . 하면 이..

국비교육(22-23) 2022.10.21

11일차(5)/GIT(6) : GITHUB(1)

https://github.com/ : 깃허브 사이트에 가입/로그인 - 로그인 후 메인페이지에서 new 또는 우측상단의 + 버튼 클릭해서 저장소를 만든다. - Repository name 에 들어가는 이름/아이디는 유일해야 한다.(기존의 저장소와 겹치면 안됨!) description에다가 저장소 관련해 메모를 하고, create - 생성 후 브라우저 주소창에 뜨는 이 주소가 저장소의 주소이다! - 저 주소를 git bash 에다가 넣어주면 연동된다. * GIthub Token - 우측상단 settings - developer settings - personal access tokens 에서 이 저장소에 업로드할 수 있는 '토큰'을 얻어낸다.(다른 사람이 내 저장소에 업로드하지 못하게 하는 기능!) - 토..

국비교육(22-23) 2022.10.2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