function 6

46일차(1)/React(9) : 함수형 컴포넌트 작성 / ajax 요청으로 DB 데이터 출력

46일차(1)/React(9) : 함수형 컴포넌트 작성 / ajax 요청으로 DB 데이터 출력 - 지금까지는 클래스 기반으로 component를 만들었는데, 이번부터는 함수 기반으로 만드는 방법을 익혀볼 예정! * 클래스 기반 - component 를 상속해서 클래스를 정의하고, render 메소드를 사용해 javascript 객체를 기본으로 화면 구성 - App이라는 클래스를 export해주면 클래스가 리턴해주는 js가 화면을 구성해주는 것 * 함수 기반 - App이라는 함수 안에서 화면 구성. jsx를 사용해서 작성하고 함수 안에 있는 내용으로 화면이 구성된다. - 마지막에는 함수명으로 export 해준다. 이것을 함수 기반 컴포넌트라고 한다. App07.js //App07.js import Reac..

국비교육(22-23) 2022.12.12

5일차(1)/javascript 기초 : 매개변수, 함수

5일차(1)/javascript 기초 - 매개변수, 함수 추가예제 / addEventListener //웹브라우저가 미리 만들어놓은 함수라고 가정해보자 function useFunc(f){ //매개변수에 function type이 전달되었다는 가정하에서 해당함수를 호출하기 f(); } useFunc(function(){}); 함수를 호출하면서 함수를 전달한다. - 빨간색 부분이 f로 대입되고 분홍색으로 실행하면서 alert 창을 띄운다. - useFunc 함수를 만들어서 f에 넣어두고, 내부에서 f를 call한다. useFunc를 만들어서 전달해 놓으면 이후에 내부적으로 call 될것이라고 기대할 수 있다. 2022.10.11 - [국비교육] - 4일차(4)/javascript 기초 : event 참고 ..

국비교육(22-23) 2022.10.12

4일차(2)/javascript 기초 : function - 매개변수

4일차(2)/javascript 기초 : function javascript data type - 매개변수 2개짜리 함수 실습 : 변수 2개를 설정하고 console창에서 값 대입하면 계산되어 나온다! - console.log(num1+" 과 "+num2+" 의 합은 "+sum); 전달받은 받은 값을 활용하여 내용을 출력하는 함수 - + 는 '연결연산자'의 기능도 가지고 있다. 숫자만 가능한 것이 아니라 문자를 연결하여 새로운 문자열 만들기도 가능! let useFunc=function(f){ f(); } - 함수에 전달된 값을 call하고 있음 - 함수를 호출하면서 매개변수에 function type(동작)을 전달하는 일은 매우 많음 xxx( ) xxx(function(){}); xxx( ()=>{})..

국비교육(22-23) 2022.10.11

4일차(1)/javascript 기초 : function 요약

4일차(1) javascript 기초 : function 요약/정리 - 함수는 참조/호출을 구분해야한다 참조 : 함수 데이터를 들여다보는 것 호출 : 함수를 실행하는 것 (call) 2022.10.07 - [국비교육] - 3일차(3)/javascript 기초 : function(1) 예제 전체는 위 게시물의 참조 let a = pushMonkey; let b = pushMonkey(); → a와 b를 구분하기. a는 함수 자체를 대입한 것이고 b는 함수를 사용했을 때의 리턴값을 대입한 것이다. → b는 함수의 실행(동작)만 있을 뿐 리턴값이 없으므로 undefined가 대입되었다. 2022.10.06 - [국비교육] - 2일차(7)/javascript 기초 : data type 예제 전체는 위 게시물의 ..

국비교육(22-23) 2022.10.11

3일차(4)/javascript 기초 : function(2)

3일차(4) javascript 기초 : function(2) - 어디까지 참조하면 어떤 값이 추출되는지 연습하기!! javascript data type - 함수Function처럼, 배열Array 안에도 뭐든 저장할 수 있다.(array, function, string, number, ...) - 참조 위치별 데이터 타입을 확인하고, 함수를 실행하는 법 익히기. let myUtil={ send: function(){}, hole: function(){} }; - send라는 방, hole이라는 방 안에 function(){}을 넣은 형태 - 사용할 특정 기능이 object의 특정 방 안에 들어가 있을 수도 있다. - console에서 실행하려면 myUtil.send() 로 작성. 전송하기 구멍뚫기 - ..

국비교육(22-23) 2022.10.07

3일차(3)/javascript 기초 : function(1)

3일차(3) javascript 기초 : function(1) [함수를 호출하는 목적] 1. 어떤 동작을 하기 위해 2. 어떤 값을 받아오기 위해 3. 어떤 동작도 하고 동작의 결과값도 받아오기 위해 javascript data type 1. 어떤 동작을 하기 위해 → pushMonkey, alert (텍스트 출력하기, 알림창 띄우기) 2. 어떤 값을 받아오기 위해 → getFortune (결과값으로 string 값을 가져온 것) 3. 어떤 동작도 하고 동작의 결과값도 받아오기 → confirm, prompt - prompt : 사용자에게 어떤값을 입력받아서 string type으로 받아온다.(동작+값 받아오기) 참고) 함수를 call하는것뿐만 아니라 함수를 call하면서 어떤 값을 전달할 수도 있다. ..

국비교육(22-23) 2022.10.07