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 이클립스 파일 export, import, delete 방법
위와 같이 파일이 있을 때, 프로젝트/패키지/클래스를 구분하기
*프로젝트 (hello, step01)
- 프로젝트 생성방법: file-new-java project
- 프로젝트를 만들기 위해서는 우측상단 현재 환경이 '자바 환경'으로 되어 있어야 한다.
- 우측상단 아이콘에서 웹개발, 자바, 깃, 디버깅 환경 등 환경 변경 가능.
환경을 바꾸면 ui의 배치가 달라지므로 환경을 잘 확인하기!
*패키지 (src, test)
- src는 패키지들의 묶음폴더이고, test.main이 패키지
- 패키지 생성방법: file-new-package
- 패키지 하위에 위치하는 파일이 자바의 소스코드(class)
- 탐색기에서 이클립스 파일을 저장하는 폴더(java_work)에 들어가보면 프로젝트, src, test, main 폴더가 있음
- 패키지를 만든다는 것은 test, main이라는 폴더를 만든 것!
- 프로젝트명 하위에 bin이라는 폴더도 있는데, 여기에는 .class 파일이 저장된다.
- .java는 텍스트문서가 아니고, .class라는 파일로 컴파일하는(바꾸는) 것이다. 실제로 실행되는것은 .class 문서이다.
- javascript의 경우에는 웹브라우저가 문자를 그대로 해석하는데,
java 같은 경우에는 우리가 작성한 .java 파일을 컴퓨터에게 인식시킬 수 있는 문서로 컴파일해야만 열어볼 수 있다.
→ 그 컴파일을 대신 해주는 프로그램이 이클립스인 것!
- .java 라는 파일에는 compile이라는 과정이 필요하기 때문에,
단순히 탐색기에서 복사+붙여넣기하는 것으로는 다른 컴퓨터의 이클립스에서도 실행할 수 있는 파일이 복사되지 않는다.
- 만약 작업파일을 usb에 백업하고 싶다면?
→ java_work의 파일을 그대로 복사해 가면 안되고, 이클립스의 file- export / import 기능을 써야한다.
[ Export ]
- 프로젝트 우클릭-export-general-file system
- 다음 창의 to directory 에서 백업할 위치를 지정하면 된다.
[ Delete ]
- 이클립스에서 프로젝트를 삭제할 경우
- 프로젝트 우클릭-delete
→ 주의 창 Delete project contents on disk에 반드시 체크해야 지워진다.
(체크하지 않으면 파일을 남겨두고 보이지 않게만 해주는 것)
[ Import ]
- import / 외부에서 파일을 불러오는 방법
- 패키지 창에서 우클릭-general-Existing project into workspace
- root directory에서 import할 대상 폴더를 선택하면 해당 폴더 내의 프로젝트 목록이 나온다.
- copy project 에 체크!!! 실제 워크스페이스(java_work)로 복사해오겠다는 뜻이다.
체크하지 않으면 불러오는 루트폴더(java_backup) 폴더에 있는 파일을 그대로 사용하게 된다!
'국비교육(22-23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13일차(3)/java(4) : Operator (0) | 2022.10.24 |
---|---|
13일차(2)/java(3) : DataType, 객체지향 언어 (0) | 2022.10.24 |
12일차(2)/java(1) : eclipse 설치, 기본 사용법, DataType (0) | 2022.10.21 |
12일차(1)/GIT(7) : GITHUB(2) (0) | 2022.10.21 |
11일차(5)/GIT(6) : GITHUB(1) (0) | 2022.10.20 |